삼공선원 > 자료실


커뮤니티SAMHWASA TEMPLE

자료실
  • home
  • 커뮤니티
  • 자료실

삼화사 | 삼공선원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2-05-21 12:02 조회31,757회 댓글0건

본문

선원(禪院) : ()을 교육하고 실수(實修)하는 불교의 전문교육기관.

 

우리 나라의 선원은 통일신라 말에 선종(禪宗)이 전래된 이후 설치되어, 승려 양성에 중요한 수행기관으로서 큰 구실을 하여 왔다.

 

사찰 내에서는 선당(禪堂선방(禪房좌선당(坐禪堂)이라고도 한다.

 

그 유래는 석가모니 당시의 비구(比丘)들이 우기(雨期) 이외에는 한 곳에 살지 않고 탁발(托鉢)을 계속하다가, 우기가 되면 작은 벌레나 초목들을 밟아 상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외출을 금하고 한 곳에 머물며 안거(安居)한 것에서 연유한다.

 

선원의 교육목표는 불교의 진리를 좌선을 통해서 내관(內觀)하고 스스로 살펴 자기의 심성(心性)을 철견(徹見)함으로써 자증삼매(自證三昧)의 묘한 경지를 체달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며 중생제도를 하는 데 있다. 따라서 일정한 교육기간이 정해져 있는 강원(講院)과는 달리 선원은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의의가 더 컸다.

 

선원의 조직은 강원의 조직과 거의 같다. 선원은 방장(方丈) 또는 조실(祖室)의 지휘 아래 운영되었는데, 그 아래 책임자로서 선주(禪主)를 둔다. 이 선주는 선덕(禪德) 또는 수좌(首座)라고도 하며, 방장이 겸하는 경우도 있다.

 

선주 밑에는 내호법반(內護法班)으로 입승(立繩유나(維那시 불(侍佛병법(秉法헌식(獻食사찰(司察시경(時警시자(侍者간병(看病지객(知客정통(淨桶정두(淨頭삭두(削頭마호(磨糊종두(鐘頭봉다(奉茶)를 두고, 외호법반(外護法班)으로는 원주(院主별좌(別座미감(米監서기(書記원두(園頭채공(菜供공사(供司부목(負木) 등을 두었다.

 

특수조직으로는 조실·열중(悅衆선백(禪伯지전(知殿지객·원두·간병·반두(飯頭정인(淨人서기·전다(煎茶채두(菜頭자두(紫頭별좌·도감(都監원주·화주(化主) 등을 둔다.

 

선원에서의 하루 수행시간은 8시간 이상으로 하는 것이 원칙으로 되어 있다. 조선승려수선제요 朝鮮僧侶修禪提要에 의하면 해인사 퇴설당(堆雪堂) 선원은 하안거 때 8시간, 동안거 때 11시간, 월정사 및 범어사의 선원은 하안거·동안거 모두 10시간씩, 대원사(大源寺)8시간, 파계사(把溪寺)6시간으로 되어 있다.

 

수행방법은 자선자수(自禪自修자력자식(自力自食)’을 기본으로 하며, 안거는 좌선을 위주로 하되 선리(禪理)를 연구하고 대소승률(大小乘律)을 가르치기도 하였다.

 

또한, 선원수행의 습독서(習讀書)로는 금강경·능엄경 楞嚴經·선요 禪要·절요 節要·도서 都序·서장 書狀·치문 緇門·자경문 自警文·초심 初心·염송 拈頌등이 채택되었고, 권장 경전으로는 화엄경·원각경 圓覺經·법화경·기신론 起信論등을 배우기도 하였다.

 

 

 

삼화사

 

삼화사(三和寺)는 통일신라말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는 절로, 창건 당시에는 삼공암(三公庵)이라고 했다. 고려 태조가 삼화사로 고쳤고 공민왕 때 중건하였다. 조선 태조 때 수륙도량(水陸道場)으로 지정되었고, 태종 때 총남종의 자복사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강원도 동해시 삼화로 584Tel. 033-534-7661~2Fax. 033-534-7546템플스테이 문의. 033-534-7676동해불교대학. 033-534-7663요양원. 033-522-0500
Copyright ⓒ samhwasa templ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