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마경 강설 145 /3, 제자품 42 /4, 수보리와 취식(取食) 8 > 금주의 법구경


신행생활SAMHWASA TEMPLE

금주의법구경
  • home
  • 신행생활
  • 금주의법구경

유마경 강설 145 /3, 제자품 42 /4, 수보리와 취식(取食) 8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교대학 작성일14-05-03 22:25 조회9,502회 댓글0건

본문









유마경 강설 145 /3, 제자품 42 /4, 수보리와 취식(取食) 8

 

 

 

 

若須菩提 不見佛하고 不聞法하며


彼外道六師 富蘭那迦葉 末伽梨拘賖梨子


刪奢夜毘羅胝子 阿耆多翅舍欽婆羅


迦羅鳩駄迦旃延尼犍陀若提子等


是汝之師어든 因其出家하여


彼師所墮 汝亦隨墮라사


 乃可取食이니다

 

 

수보리여, 부처님을 보지 말고 법을 듣지도 말며


저 외도들의 육사인 부란나가섭과 말가리구사이자와


산자야비나지자와 아기다시사흠파나와

 

가나구태가전연과 니건타야제자 등이


그대의 스승이니 그들로 인하여 출가하여


그들 스승이 떨어진 곳에 그대도 또한 떨어져야 이에


가히 음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

 

 

 



강설 ; 외도들이 떨어진 곳에 그대도 따라서 떨어지라


[彼師所墮 汝亦隨墮]라는 말은 유마경의 명구다.


일반불교에서는 기본적으로 외도나 사도를 배척한다.


그래서 혹 다른 소견을 가진 자를 마군이라고까지 비난한다.


그러나 대승적 가르침을 표방하는 유마거사의 주장은


굳이 부처님에게도 집착할 것이 아니며


부처님의 법에도 집착할 것이 아니다.


외도육사(外道六師)라고 해서 스승이 되지 말라는 법도 없다.


그들에게 귀의하여 그들의 가르침을 들으라.


실로 부처님의 십대제자 중


목건련과 사리불과 같은 이들도 한 때


그들에게 귀의하여 공부하지 않았는가.


일찍이 그들에게 공부하지 않았더라면


오늘과 같이 훌륭한 제자가 되지 못했을 것이다.


부처님의 법에도 치우치지 말 것이며


외도육사에도 치우치지 말라.”라는 것이다.


그래야 신도가 베푸는 음식을 얻어먹을 자격이 된다는 것이다.


참고로 외도육사에 대한 간단한 내용을 소개한다.


외도육사, 또는 육사외도라고 하는데


BC 5-3 세기 인도 우파니샤드 철학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사상이 62() 또는 360여 종의 이설이 있었다고 하는데


그중에서 세력이 컸던 부란나가섭, 말가리구사이자,


산자야비나지자, 아기다시사흠파나, 가나구태가전연,


니건타야제자 등이다.


이들은 힌두교의 기본 경전인


베다와 우파니샤드에 배치되는 점이 많았고,


불교에 수용되어 외도(外道)라는 말이 붙여졌다.


하나하나 간단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부란나가섭[富蘭那迦葉, Purana Kassapa]


인과응보를 부정하고 윤리에 대한 회의를 표명하여


도덕이 필요없다고 주장하였다.



2, 말가리구사이자[末伽梨拘賖梨子, Makkhali Gosala]는 숙


명론을 내세웠다.


흔히 사명외도(邪命外道)라 불리는 이 파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의 운명이


숙명적으로 결정되어 있다는 입장을 취하여


인간의 삶에는 인연이 작용하지 않고


모든 자연현상에는 고유의 생명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3, 산자야비라지자[刪闍耶毘羅胝子, Sanjaya Belattiputta]


회의론을 주장하여 진리를 있는 그대로 인식하고


서술하기란 불가능하다는 불가지론(不可知論)을 폈다.


진리에 대한 인식이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하여


기분파라고도 불렸다.


부처님의 십대제자 중 목건련과 사리불이


부처님께 귀의하기 전에 이 파에 속했으나


윤리적 또는 실천적 태도를 표명하지 않아 외도로 일컬어졌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강원도 동해시 삼화로 584Tel. 033-534-7661~2Fax. 033-534-7546템플스테이 문의. 033-534-7676동해불교대학. 033-534-7663요양원. 033-522-0500
Copyright ⓒ samhwasa temple. All Rights Reserved.